최근 오랜만에 이벤트성 캠페인 서비스를 만드는 작업을 했습니다.
나중에 작업할 때 놓치는 것이 없게 체크리스트를 만들기.
초기 목적/목표에 대한 부분은 제외하고 실제 작업 시에 챙겨야 할 부분들 위주로 정리합니다.
(운영중이였던 회사는 기존에 이미 세팅되어 있는 것이 많겠으나, 이번에는 정말 아무것도 없이 처음부터 시작)
1. 기획서 작성
- 프로젝트 인력 확인 및 방향성에 대한 컨센서스 맞추기 (디자인, 프론트, 서버, (퍼블리싱))
- 프로젝트 멤버에 기획서 리뷰 : 개발이슈, 디자인 이슈 검토
- 화면 사이즈 최대/최소, 반응형 대응에 대한 가이드 정의
- 인터렉션 요소 정확히 정희 ( 사이즈별로 대응)
- 이외 외부 리소스 필요한 항목에 대해 준비 (효과음, 애니메이션, 사진, 등) - 구입 또는 외주계약 + 비밀유지서약서(이번 케바케)
- URL 정의 (화면별)
- 기획내용에 법적 이슈 확인 (IP, 도메인 특성상 이슈, 라이센스)
- 접근성에 대한 가이드 정리 (최소 대체텍스트, 동영상 자동재생금지, 초점이동기능)
- 사회적 이슈에 반하는 부분은 없는지 확인 (젠더이슈, 차별 등)
- 텍스트 맞춤법 확인
- 에러페이지 준비 (404.502등)
2. 프로젝트 운영
- 스크럼 주기
- 이슈 논의방식
- 프로젝트 멤버별 이슈 확인
3. 마케팅
- 마케팅 및 광고 방안 위치 및 비용 산정
- 콘텐츠 정의
- 뉴스기사 등 언론노출 준비
- SEO 대응 (robot.txt, 각종 서치콘솔 적용)
4. 디자인
- 서비스 특징에 맞춘 디자인 컨셉 정의 (w. 디자이너)
- 다양한 비율에서 이용될 수 있는 사이즈로 디자인 진행
- 파비콘, 공유 이미지, 기사용 등 소소한 것들도 이미지 컷 준비
5. 개발환경
- 서버, 클라우드 준비
- 도메인 구입 및 SSL인증서 준비
- 서버 스트레스 테스트
- 배포환경 준비 (운영을 위한 무중단배포확인)
6. 데이터 분석 준비
- 분석툴 연결 (구글애널리틱스, 파이어베이스,내부 분석툴 등)
- 상세 이벤트 정의
7. 테스트
- 최소 대응 가이드 정리
- 테스트 케이스 정리
- 테스트 환경 준비 (실서비스데이터 반영? , 이슈티켓 발행 등)
- 테스트 장비 준비
8. 운영준비
- 모니터링 방식 정의 (주기, 담당자, 방식 등)
- 모니터링 자동화(서버다운, 서비스다운 알림 등)
Photo by Christopher Gower on Unsplash